|
||||||||||||||
|
안희정
안희정(安熙正, 1964년 10월 24일 ~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6대 대통령 노무현의 측근이었고 이명박 정부 시절 민주당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민선 5·6기 제36·37대 충청남도지사이다.[1][2][3] 2016년 지방자치단체장으로 일하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 나갈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4][5] 유년기[편집] 안희정은 1964년 10월 24일에 충청남도 논산에서 2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남대전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1학년 때 대전 제일서점 주인에게서 건네받았던 민주화 잡지 "평천하"를 읽었다는 이유로 입학한 지 7개월 만에 제적되었다.[6] 이후 서울에 있는 성남고에 진학했으나 마찬가지로 자퇴하고 대학생들과 같이 국풍81 반대 운동에 참여하던 중 제대로 학생운동을 하기 위해, 대학에 가야 한다고 생각하여 제대로 된 입시 공부를 시작한다.[7] 검정고시에 합격 후 1983년에 고려대 철학과에 입학하였다. 4학년 때 자신이 주동이 된 고려대학교 내의 운동권 서클 14개 통합하여 애국학생회를 조직하여 1988년 반미 청년회 사건으로 안기부에 체포되어 10개월 동안 수감되었다. 정계 입문[편집] 1989년 1월부터 통일민주당의 김덕룡 국회의원실에서 일하게 됐다. 이듬해 1월 3당합당이 일어나는데 이때 이기택, 김정길, 장석화, 박찬종, 홍사덕, 이철, 노무현 7인이 3당합당을 거부하며 김영삼을 따라가지 않고 새 민주당을 결성했다. 통일민주당에 있던 당직자 중 안희정을 포함한 18인이 잔류를 택했다. 이후 이철 사무총장의 비서로 일하게 됐다. 1991년 사직서를 내고 창원에서 노동복지회관을 짓는 공사장에서 2달 동안 건설 일용직 생활을 했다. 마침내 제14대 총선에서 이철의 당선을 끝으로 1992년 4월에 비서직을 사임하고 정계를 떠났다. 참여 정부 시절[편집] 정계를 떠난 이후 출판사 영업부장으로 일했다. 제적되었던 고려대학교 철학과에 복학하여 졸업했고 이를 새로운 돌파구로 삼았다. 이때 이광재와 함께 제14대 총선에서 낙선한 노무현을 돕는 일을 시작해 1994년 6월 지방자치실무연구소의 사무국장으로 일했다. 2002년에는 새천년민주당의 노무현 대통령 후보 캠프에서 정무팀장을 지내며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당선시키는 데 일조했다. 하지만 노무현 당선 이후 부패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았다. 검찰조사에서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에게 백화점 상품권 5000만 원어치를 받았다는 것이 드러났다. 2003년 12월에 여러 기업(삼성)으로부터 대선 자금을 받은 혐의로 염동연과 함께 구속기소됐다. 2004년 9월 항소심에서 징역 1년을 선고받아 서울구치소에서 복역했다. 그 후 참여 정부 임기 동안 공직을 맡지 않았다. 2007년에 참여 정부의 많은 업적들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점이 안타깝다며 참여정부평가포럼을 출범시키고 상임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김대중, 노무현 2명의 대통령의 정신을 계승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우며 2008년 7월 6일에 통합민주당의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선출된 뒤에는 지방자치실무연구소의 맥을 잇는 더좋은민주주의연구소의 설립을 주도했다. 충청남도지사 당선[편집] 2010년 안희정은 충청남도지사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하였다. 그해 6월 2일에 치러진 제5회 지방 선거에서 치열한 접전 끝에 자유선진당의 박상돈 후보를 2.4% 차이로 누르고 충청남도지사에 당선되었다. 도청 이전 사업을 마무리하고 내포신도시를 건설 농어촌에 희망을 심어주기 위한 3농혁신을 추진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대책을 확대 수도권 규제 완화에 대응하여 신균형 발전 대안을 마련 산업·도시화에 상응하는 사회·도시 인프라를 구축 사회 양극화와 도내 불균형 발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 온전한 지방자치 실현을 위한 자치분권을 추진 일 잘하고 투명한 도정을 이루는 행정혁신 추진 안희정의 충청남도지사 당선 이후 2014년 충청남도는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의 공약이행평가에서 4년 연속 최우수(SA)등급을 받아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안희정은 2013년《시사저널》의 '차세대 리더 100인' 중 정치 분야 1위로 선정됐다. 2014년 6월 4일 치러진 제6회 지방 선거에서 새누리당의 정진석 후보를 8% 차이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학력[편집] 1977년 구자곡초등학교 졸업 1980년 연무중학교 졸업 1980년 남대전고등학교 제적 1981년 성남고등학교 중퇴 1982년 검정고시 합격 1994년 고려대학교 철학 학사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5회 지방 선거 충청남도지사 36대 (민선 5기) 민주당 42.2% 367,288표 1위 충청남도지사 당선 제6회 지방 선거 충청남도지사 37대 (민선 6기) 새정치민주연합 52.21% 465,994표 1위 충청남도지사 당선 저서[편집] 《담금질》, 나남출판, 2008년 ISBN 9788930082648 《247명의 대통령》, 나남출판, 2010년 ISBN 9788930084499 《산다는 것은 끊임없는 시작입니다》, 위즈덤하우스, 2013년 ISBN 9788960866287 《콜라보네이션》, 스리체어스, 2016년 ISBN 9791186984055 《안희정의 함께, 혁명》, 웅진지식하우스, 2016년 ISBN 9788901213699 [각주] 차형석. “나에겐 친노가 두려움의 말이 아니다”. 시사IN. 2016년 11월 18일. 이동 ↑ 안희정 "분노로 작두 타선 안돼…정치인, 평범한 삶 얘기해야". MBN. 2016년 12월 14일. 이동 ↑ 이상헌. 벌써 합종연횡?…이재명 "팀플레이"에 안희정 "구태" 반박. 연합뉴스. 2016년 12월 12일. 이동 ↑ 조소영. 민주당, 대선 경선룰 이달 중 결정…주자들 간 '수싸움' 예고. 뉴스1. 2017년 1월 3일. 이동 ↑ 안희정 "현재 지지율, 내 열정 못 꺾어". YTN. 2017년 1월 3일. 이동 ↑ <안희정과 이광재> 박신홍 지음, 메디치 출판. 55p, "당시 대전 시내 책방 골목 입구에 제일서점이라는 사회과학 서점이 있었는데 어느날 《창작과 비평》을 찾는 안희정에게 서점 주인이 '평천하'라는 지하신문을 건넸다." 이동 ↑ <담금질-안희정의 새로운 시작>, 나남 출판, 48p, "학생운동을 하려면 대학에 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글/사진: Wikipedia] Comm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