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치] 라셔, “美? ‘면책 증후군’ 벗어나야
![]() 전 미 국무장관 콜린 파웰이 2003.2.5. 유엔 안보리에서 연설 하면서 탄저균을 답는데 쓰일 수 있는 크기라고 스스로 말하는 유리 약병을 들고 있다. © AFP PHOTO / Timothy A. CLARY
RT 원문 2023.2.4. 한 고위 외교관은 워싱튼은 심각한 반발에 직면하는 일이 없다보니 전 세계 무대에서 무력을 사용할 능력을 잃었다 고 했다 [시사뷰타임즈] 세르게이 랴브코프 라셔 (러시아) 외무차관은 토요일, 리아 노보스티 통신사에 미국이 2003년 이라 침공에 대한 명분을 날조했다는 사실을 세계가 잊을 것으로 기대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라셔 외교관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콜린 파월 당시 미국 국무장관의 이제 악명이 높은 연설 20주년 전날에 이같이 말했는데, 그 연설에서 파웰은 생물학적인 것을 비롯하여 이랔의 대량파괴무기의 증거랍시고 주장햇던 것을 제시했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파웰은 탄저균을 대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작은 흰색 가루 유리 약병을 보여주며 미국이 전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안보리에 말했다. 하지만, 이랔에서는 대량파괴무기가 발견되지 않았다. 파웰의 유엔에서의 연출은 "오랫동안 위선, 미국 집권 일류층의 자신만의 면책에 대한 확신 그리고 미국 이외의 세계를 건방지게 가르칠 수 있다는 도전받지 않는 권리에 대한 완벽한 본보기가 됐다.“ 고 리아브코프가 말하면서 그 일은 또한 미국 만의 전세계 주도권을 보전하기 위해 ”명백하게 상대적으로 더 허약한 적을 상대로 무력을 사용하겟다는 워싱튼 의지의 전형적인 것“ 이었다고 덧붙였다. 라셔, 가장 최근 미국의 유크레인 무장 격상에 대응 하지만, 이 외교관은 2000년대와 1999년 NATO의 유고슬라비아 폭격 작전과 달리, 현재 상황에서 워싱튼은 "국제적 강도질"에서 빠져나갈 수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빠르게 변하는 지정학적 지형에서, 미국은 이제 심각한 결과에 직면하지 않고는 원할 때마다 했던 그 무력 사용 각본에 의지할 수 없다” 며 2021년 앺개니스턴 (아프가니스탄) 에서의 미군의 “굴욕적인 탈출 비행” 을 지적했다. 하지만, 유크레인 (우크라이나) 분쟁에 대해 워싱튼의 "간섭" 이 보여주듯, 이러한 좌절이 미국이 예전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고 외교관은 이어 말했다. “미국인들은 새로운 길에 적응해야 하고 [탄저병] 약병 추문 동안 명백하게 드러난 면책 증후군을 제거해야 할 것이다. 이는 라셔 (러시아) 와 중국은 물론이고 보다 공정한 다자간 세계 질서를 형성하고 있는 다른 주요 국제 주체를 고려하는 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고 리아브코프가 말했다. 미국은 “20년 전의 기억이 이동하는 현대사의 모래 속에 파묻힐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있어서는 안 될 것” 이라고 했다.
Comm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