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치] 라셔, UN 안보리 개혁 촉구: 라프로프 "서구 세계, 대표권 너무 과다"
RT 원문 2021.6.28. [시사뷰타임즈] 라셔 (러시아) 외무장관 세르게이 라프로프는 보다 균형 잡힌 세계 질서 창출을 위해선 결정 과정에 “서구 세계가 갖고 있는 과다한 대표권” 이 제한돼야 하고, 지구촌 동족 및 서쪽으로부터의 더 많은 입력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마스커우 (모스크바) 일간지 코메르산트 지에 기고한 글에서, 라프로프는 서구 국가들이 유엔 안보리에서 너무 많은 권한을 갖고 있다고 하면서, 이 권한을 제한해야 국제 관계가 민주화 될 것일고 적었다. 15개국으로 구성돼 있는 안보리에는 중국, 프랑스, 라셔, 그리고 영국 및 미국 등 5개 국가가 포함돼 있다.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또는 남미 등에는 영구 대표부가 없다. 나머지 10개 국가들은 여러 국가들이 돌아가면서 회원국이 되는데, 아프리카 대륙에서 3개국이 초청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2개국, 동부 유럽에서 1개국, 래틴 어메리커 및 캐리비언에서 2개국, 그리고 서부 유럽에서 2개국이 안보리 합류를 위해 초청된다. 라프로프의 말에 따르면, 이러한 구성은 서구 국가들 편에 서있는 것이라고 한다. 이란은 관찰 협약이 만료가 되자 유엔감시단체에 핵이 있는 곳의 사진을 “절대로”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라프로프는 “국제 관계에 더 많은 민주주의를 가져와 다 (多) 중심 세계 질서라고 단언하기 위한 여러 노력 사항에는 아시아, 아프리카 및 래틴 어메리커 국가들과 더불어 강화됨으로써 유엔 안보리를 개혁하고, 유엔의 주요 기구들 속에서 서구 국가들이 과다한 대표권을 갖는 비 정상성을 종식시키는 것이 포함돼 있다” 고 적었다. 기존 기구들은 서구 국가들이 “강압적으로 말하면서 소위 ”규범에 근거한 세계질서“ 라고 불리는 불문율을 위반한 그 어떤 국가라도 질책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해 주고 있다고 라프로프는 주장했다. 라셔 외무 장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새로운 미국 행정부가 G7과 NATO의 '구세계 질서'를 회복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노인과 젊은이들 사이에서 상호 수용 가능한 합의를 이룰 수 있는 보다 자연스러운 기반” 은 G20이라고 하면서 이 기구는 G7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틀리 (이탈리아), 일본, 영국 및 미국) 및 BRICS (브러질 (브라질), 라셔, 인도, 중국 및 남아공) 등과 함께 한다고 했다. 라브 로프는 또한 라셔가 국제 문제에서 통합적인 의제를 제공하고 있으며, 마스커우가 이해의 균형을 추구하는 모든 국가와의 공정한 대화를 위해 열려 있다는 견해를 표명했다. “우리는 정의의 최고 가치를 바탕으로 하는 국제 관계 문화의 출현을 지속적으로 장려하고 크고 작은 모든 국가가 평화와 자유 안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라고 그는 적었다.. “우리는 확고하게 국제법에 뿌리를 둔 균형을 찾기 위해 상호 교차적 준비가 돼있음을 보이는 어느 누구와도 정직하게 대화를 할 수 있는 열린 상태로 항상 남이있을 것이다.”
Comm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