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의 시간들 (49) - 방송을 떠나다


.
.
아픔의 시간들- (49)
 .
 방송을 떠나다
.
여권 받는 고통,
로맹 롤랑 전집 35 권 맨 뒷장마다,
우표만한 서적인환권(書籍引換券)이 붙어 있었다.
그 인환권 35매를 전부 보내는 독자에게는, 
로맹 롤랑 사진집을 보내준다는 출판사의 공지가 있었다.
.
그 서적인환권 35매를 서툰 일어편지와 함께 동경 출판사에 보내봤다.
한 2주일 후 일본 미스즈출판사에서,
항공서간 회신과 함께 롤랑 앨범이 왔다.
편지 보내온 인사는 여류작가 겸 연극평론가.
.
한국에서 이런 전집을 구입했다는 소식은 처음이라면서,
어떻게 해서 로맹 롤랑을 존경하게 됐느냐며,
반가워하는 편지였다.
.
그때부터 나는 일본어 문장 쓰는 법을 혼자 익히기에 고심,
일본 여성작가와 통신하면서, 일본에서,
평화주의자 로맹 롤랑이 얼마나 존경받는가를 알게 되었다.
..
한국인들은 초청장과 재정보증서라는 형식 아니면,
여권 내기 어렵다는 정보를,
그 여류 작가가 동경서 한국 유학생으로부터 입수,
.
자신의 부부가 초청자와 재정보증인이 되어줄 테니,
일본 와 공부하면 어떠냐고, 권고해와,
.
일본인에게 신세 지면 안 되는데, 하면서도,
나는 한국의 무서운 군사정부 압박을 잠시라도 벗어나려는 기대로,
일본 작가의 초청 권유를 받아들여,
복잡한 서류 만들어, 여권수속을 시작한 것은 1970년 4월 8일,
.
외무부에 여권 수속 시작하려면, 주무 부처 추천을 받아야 하고,
주무부처 추천을 받으려면, 먼저 신원조회를 마쳐야 하고.
.
그러나 첫 번 째 관문인 신원조회를 치안국에서 영 해주지 않아,
알지도 못하는 옛날 중학 선배 남편 되시는 분이,
치안국 간부임을 알고 부탁하여, 처제라고 하여 신원조회를 마쳤다.
.
주무부처 문교부에서는 추천 대신,
불요불급(不要不急)이라는 엽서만 날아왔다.
그리고 뒤로는 은근히 뇌물 요구만 하고.
.
할 수 없어, 중앙청 재정관계 부서에 근무하는 친척이,
정부청사 출입하는 중앙정보부 요원에게 부탁,
.
정보부 요원의 선배님이 장관인가 차관인가 하시어서,
내 서류를 선배님 찾아가 보이고, 윤미림의 사상은
제가 보증 서겠습니다, 하고,
추천을 받아주었다.
.결재 난 그 추천서 받으러 문교부 해당과에 갔더니,
공무원은 추천 서류를 찾으러 간 나에게 직접 주지 않고,
밖에 나가 있으라고 했다.
.
왜 그런지 그는 자기 상의 안주머니에 그 추천서를 넣고 나와,
특별히 주는 것처럼 은근한 태도로 나에게 서류를 주었다.
.
그래서 그 성의나마 감지덕지,
나는 다동의 호수라는 레스토랑에서 그에게 점심 대접...
.
부패척결과 경제재건을 기치로 내 걸고 들어선 5.16 정권은,
출발하자마자 곧 자유당 정부보다 더 부패,
신원조회고, 주무부처 추천이고, 법은 어디 가고,
빽이나 뇌물 아니면 한발짝도 움직일 수가 없었다.
.
당시 공무원 얼굴들이,
북악산 아래 청와대 쪽을 바라보며 이렇게 말하고 있는 듯 했다.
.
누구는 군사반란 일으켜 저렇게 세도부리고 떵떵거리는데,
우리라고 사보타주 좀 하면 안 되냐?
 .
산넘고 바다 건너, 그 어려운 여권 발급 받고 비자 받아,
김포공항으로 향한 것은 1970년 6월 2일 오전 10시 반경,
 
.
5.16권력의 공포 없는 곳으로 나가 본다는 것만 속이 시원했는데,
그것은 세계 속의 한국인 위치를 배우게 되는,
또 다른 고난의 시작이었다. 
일본에서의 학비는, 한국에서는 정식 송금이 안 되므로,
외국과 연줄이 닿는 수도원에서 엔화 50여만엔을 융통.
(50여만앤으로 당시 동경에서 최하층 생활하면 2년 버틸 수 있었음)
.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김포공항 가는 버스에 오르자,
내 귀에는, 동경 가면 듣게 될,삿대질하면서 벌떼처럼 쏟아내는,
일본사람들의비난이, 와글와글 시끄럽게 들려왔다.
.
야, 한국인, 윤미림~~~,
너희들 그렇게 우리 일본을 욕하더니,
미워하는 일본에서 무얼 배우겠다고 왔냐?
이 배알도 없는 족속들아, 너희 나라에서는 그런 공부도 못해? 
.
여기서도 일본인들이 와글와글.....저기서도 와글와글......
낯선 땅 동경 가서,
모르는 일본 사람들한테 부대낄 생각을 하니, 골이 띵했다. (끝)
 
.

Comment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 시사 View 社說 ]

트럼프의 망상: “… 제퍼리 엡스틴과 트럼프, 1990년 대 사진 /출처: 중앙일보 입력 2023.3.22. [시사... 더보기

[한석현 칼럼 '횡설수설']

헌법재판소 재판관 잰위애게 "헌법재판소 판사들에게!" 한석현 글 <마귀의 역사를 물리쳐라> 2017. ;3. 10 2017, 3. 11일은... 더보기

[이명수 칼럼 '민초지후']

오호라, 통재여! 삼일절이 매국절이 되었도다!! 1919년 3월1일 썩고 부패한 조정대신들의 역적행위로 인해 쪽바리 일본에 강탈당한 국권회... 더보기

[오대환 칼럼 '사강정론직필']

어리석은 참으로 어리석은 정권 박근혜 정부가 이란이 미국의 금융제제로 한국에서 찾아가지 못한 3 조원의 돈을 못 찾아... 더보기

[ 홍정호의 정치인 분석 ]

정치인 분석 - 윤석열 윤석열 출생일 : 1960년 12월 18일 서울 출생지 : 아버지 윤기중(尹起重)[주해 2]과 어머니 최... 더보기

[윤미림 메타세콰이어]

아픔의 시간들 (49) - 방송을 떠나다 . . 아픔의 시간들- (49) . 방송을 떠나다 . 여권 받는 고통, 로맹 롤랑 전집 35 권 맨 뒷장마다... 더보기

[현영춘 칼럼 '세상잡설']

상식과 몰상식. 민주주의 국가에서(그 것이 민주주의 국가의 흔히..최고봉이라 일컬어지는 미국이라해도),... 더보기

[김재찬 칼럼 '단순무식']

아이들아 얼마나 무서웠니 ? 시사뷰 횐님들 그동안 안녕 하셨습니까 ! 오랫동안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가 오늘 닉네... 더보기

[박근혜의 모든 것]

[세계의 지식인들 “박근혜 집권 반대, 유신독재의 회귀”] 교협, 58개국 552명 지식인 연대 서명 성명 발표 …박근혜 후보 집권 초국경적 파급력 클 것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