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회] 흑인 女의사, 병원의 인종차별대우 비난 수주 후, 코로나로 사망!
CNN 원문 2020.12.25. [시사뷰타임즈] 인디애너주의 한 병원에 입원해 있는 한 여자 흑인 의사가 백인 의사들이 자신의 통증은 무시하면서 치료 걱정을 한다고 말 한 뒤 코로나바이러스로 사망했다. 의시인 수전 무어는 코로나바이러스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 때문에 일요일,, 세상을 떠났다고 무어의 아들이 뉴욕 타임즈지에 말했다. 내과 전문의인 무어는 인터넷에 올린 한 영상에서, 인디애너 대학교 보건 북부 병원 (IU North) 의 한 의사가 자신이 흑인이기 때문에 그리고 자신이 환자이자 의사임에도 불구하고, 사진의 고통에 대한 불평은 무시하면서 약 처방을 요청했다고 비난한 지 2주일 후에 사망했다. 이달 초에 올린 한 영상은, 무어가 IU 북부 병원에서 이런 일을 겪은 뒤 병원 병상에서 자촬한 것이었다. 무어는 자신을 담당하는 의사가 자신의 증상은 싹 무시하면서 “당신은 숨이 가쁘지 조차도 않다.” 는 말을 해주었다고 했다. 자신이 12월4일 훼이스북에 올린 영상에서 무어는 “예, 난 그렇습니다.” 라고 말했다. 무어는 에볼라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받게 해달라고 간청할 수밖에 없었다. 무어는 영상 속에서, 무어는 항바이러스 의약은 코로나바이러스로 병원에 입원해 있지만 기계적 인공호흡기는 필요하지 않은 환자들 치료를 위해 쓰이는 것임을 상기시켜 주었다. 그리고 무어의 통증에도 불구하고, 그 의사는 무어에게 무어를 집으로 보낼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했고, 그 의사가 자신에게 마취제를 더 많이 주는 것을 편안치 않게 느꼈었다고 했다. 무어는 “그 의사는 나를 약 중도자인 것처럼 느끼도록 만들었다.” 고 영상에서 말하면서 “그리고 그는 내가 내과 전문의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고 했다. 무어는 기존에 올린 영상과 더불어 자신의 훼이스북 계정에 증보 내용도 올렸었다. 내과 전문의인 무어는 자신의 통장은 자신에 대한 치료에 대해 우려를 제기한 뒤에야 겨우 “적절히 치료됐다” 고 했다. 무어는 이후 IU 북부 병원에서 퇴원했지만, 12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서 다른 병원으로 되돌아갔고 자신의 훼이스북 계정에 글을 쓴 것이었다. “내가 백인이라면, 이런 일을 겪게 되진 않았을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하며 고발한다.” 고 무어는 말했다. IU 북부 병원의 한 대변인은 CNN에 무어는 당 병원에 있는 한 환자였으며 결과적으로는 퇴원했지만, 사생활을 이유로, 자신에 대해 더 많은 말을 하는 것은 꺼렸다고 했다. “의료행위에 있어서 인종차별적인 불평등한 차이를 감소시키는 형평성에 전념하는 한 조직으로서, 우린 차별이 있었다는 비난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에며 모든 주장을 조사해 보겠다.” 고 대변인은 말했다. 화요일, 성명서에서 인디애너 대학교 보건 병원의 최고경영자이자 회장인 데니스 M. 머피 박사는 무어가 받은 치료의 기술적 측면에 대해선 옹호하는 반면, “환자들에게 무엇이 가장 문제가 되는 지 이해하려 노력은 하면서도 (환자들이 받아들일 수준의) 연민과 존중심은 보여주지 못한 것일 수도 있다” 며 한 발 물러섰다. 그는 또한 이 사건에 대헤 외부적 검토도 요청했다. 새로울 것도 없는 의료행위에서의 인종차별주의
무어의 이야기는 흑인 환자들을 향한 의료 행위에서의 인종차별적으로 내포된 편견이라고 부르는 더 넓은 문제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들은 흑인환자들이 백인환자들 통증에 대한 약 처방을 일부의 경우 덜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주어 왔다. 그리고 뉴 잉글런드 의약 저널에 최근에 실린 한 기사에서는 불평등한 치료행위가 부분적으로는 “끈질기게 계속되는 인종자별주의자들의 문화적 신념과 관행” 탓이라고 했다. 이 기사는 백인 의대생들 및 주민들 절반이 흑인과 백인 사이의 본연의 생물학적 차이점에 대해 근거도 없는 믿음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는 것인데, 흑인 환자들의 고통이 백인 환자들의 그것 보다 덜 가혹하리라고 그릇되게 믿고 있다는 사실을 인용한 것이었다. "이러한 불공평한 치료행우가 ‘정상적인 것’ 이라고 받아들이는 것은 흑인들이 본질적으로 질병에 잘 걸리며, 명백하게 보이는 것이건 내포된 것이건, 고품격 돌봄을 받을 자격이 없다는 믿음에 역사적으로 뿌리를 두고 지지를 받는 것“ 이라고 뉴 잉글런드 의약 저널 기사 기고자는 적으면서, 의약에 있어서의 인종차별주의 문제를 정치에서의 그것과 비교하고 있다. 의약 치료에 있어서 인종적으로 불평등한 차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가 더욱 분명히 있어왔는데, 이러한 것이 공동체의 피부색에 따라 불균형한 영향을 미친다. “미국에서 백인이 대부분인 대다수의 의사들에게 있어서, 그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통증에 대해 많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아고 인식한다.” 라고 소아과 외과의사이자 흑인 의사 코로나바이러스 연합체 설립자인 알라 스탠포드 박사는 말했다. 무어는 19살 짜리 아들 헨리 무하메드를 남겨 놓았고 무어의 연세든 부모들은 모두 치매 증상을 갖고 있다고 이들을 대신해 설립된 ‘나에게기금을달라’ 에선 말한다. 뉴욕 타임즈지에 따르면, 무어의 가족들은 무어가 저매이커 (자마이카)에서 태어나 케터링 대학교에서 공학 공부를 할 때까지 미시건주에서 성장했다고 했다. 무어는 그후 미시건 의대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고 타임즈지는 보도했다. ‘나에게기금을달라’ 사이트에서는 무어를 병원 개업을 아주 하고 싶어했으며 ‘델타 시그마 쎄라’ 여학생 동아리 회원이 된 것을 자랑스러워 했다고 묘사하고 있다. ‘델타 시그마 쎄라’ 여학생 동아리란? (한국도 포함돼 있는) CNN은 무어의 가족에게서 더 많은 말을 들어보기 위해 연락했다. 무어의 아들은 뉴욕 타임즈지에 엄마는 병원에서 능숙하게 자기 자신을 옹호했으며 종종 유육종증(쥬: 類肉腫症; 림프절·폐·뼈·피부에 육종 같은 것이 생기는 증상) 치료를 종종 받았다고 했는데, 이 질병은 폐에 영향을 미치는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아들은 뉴욕 타임즈지에 “거의 매번 엄마가 병원에 갈 때마다, 엄마는 스스로 자신을 옹호하야 했고, 어떤 방식으로, 어떤 형태나 모습으로 뭔가를 위해 싸웠는데, 단지 바셀린 및 적절한 치료제를 얻기 위해서였다.” 고 말했다. 무어는 영상에서 “이것은 흑인들이 어떻게 죽게되는지에 대한 것이다.” 라고 하면서 “흑인 환자들을 집으로 보내면 의사들은 환자들이 스스로 어떻게 싸우는 지를 알지 못한다.” 고 했다. 스탠포드는 무어가 자신의 환자가 아님을 인정했고, 무어가 치료를 받았던 병원의 상황이 어떠했었는지를 알지 못했다. 그러나 스탠포드는 무어가 거듭해서 스스로 치료를 하겠다고 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 이라고 느꼈다. 추가로 스탠포드는, 무어가 진통제를 달라고 하기로 작정했던 것은 단지 통증에서 구제되기를 원한 것만이 아니라, 숨쉬기를 더욱 편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회복을 뒷받침하려는 것이었다고 했다. 그리고 무어가 항바이러스제를 요청한 것은 현재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표준적 치료 방식들 중 일부라고 스낸포드는 덧붙였다. 이런건 그냥 기본적인 것일 뿐이다.“ 라고 스탠포드는 말하면서 ”이것은 사람들이 받게되는 표준적인 것이다. 난 병원에서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을 할만큼 돌보아 주며 그들이 낫기를 바랬던 상황으로부터 알고 있는 것이다.“ 라고 했다. ‘무어가 나고 우리가 무어다’ 무어가 최초로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은 것은 11월29일이었다고 무어의 훼이스북 글에선 말한다. 12월4일, 무어는 인디애너주 카멜에 있는 IU 북부 병원에 입원했다. 이 입원은 CT 촬영 결과 새로운 림프샘 장애 -이 질병은 림프 마디가 커지는 것- 가 있음을 보여준 이후에야 있었던 일인데, 병원은 무어의 고통을 치료해 주기로 합의를 본 것이었다고 무어는 말했다. “사람에게, 어디가 잘못됐으니 약을 먹어야 한다고 말하려면 증거를 보여 주어야만 한다.” 고 무어는 영상에서 말했다. 스탠포드 박사는 림프샘 장애는 “이 질병이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진행하고 있었고” 무어의 신체는 이 질병을 싸워서 물리치고 있는 중이었다고 했다. 무어의 훼이스북 글에 따르면, 무어는 IU 수석 의료진 -무어에게 반드시 최상의 치료를 받게 해주겠다고 말했던- 과 결국 말을 할 수 있었다. 그는 또한 무어에게 다양성 훈련도 시행될 것이라고 했었다. 12월7일, 병원은 무어를 내보내 집으로 보냈다고 무어의 훼이스북에서는 때마다 올렸다. 그러나 12시간도 채 지나지 앟아, 무어는 열과 혈압이 떨어지면서 다른 병원으로 보내졌다고 훼이스북에선 적고 있다. 무어는 자신이 백티어리어성 (박테리아) 폐렴 및 코로나바이러스 폐렴 치료를 받고 있는 중이라고 했었다. 무어는 두 번째 병원에서의 치료는 매우 “동정적인 것” 이었다고 했다. 다음날, 무어는 자신이 중환자실로 이송되고 있는 중이라고 적었다. 이 글이 무어 훼이스북에 올라온 마지막 글이었다. 무어에 대한 이야기는 이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에게서 넘치도록 너그러운 말들이 나오게 만들었고, ‘내개기금을달라’ 사이트는 목요일 밤 현재 10만 달러를 모금했다. 무어의 영상을 본 뒤 무어와 처음으로 연락한 또 다른 내과 전문의 앨리시아 샌더스 박사는 무어의 아들 무하메드를 인디애너 대학교에 되돌려 보내는 것을 포함, 무어 가족을 위한 기금 모음을 도왔다. 샌더스 박사는 자신이 추음에 무어와 연락하게 됐던 이유는 “숙이 뒤틀려서” 였다고 했다. 역시 흑인은 샌더스는 “무어가 접니다.” 라고 하면서 “무어가 나고 우리가 무업니다. 이런 일은 우리들 중 누구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라고 했다. 스탠포드 -CNN에 자신이 의약계에 내포된 편견과 인종차별주의를 인식햇다고 말했지만, 의료 체제 내에서 제반 사항을 바꿔보려고 작정한- 도 샌더스의 말을 반영했다. 스탠포드는 CNN에 무어의 이야기에 대해 처음 알게됐을 때, 하던 일을 멈추게 했고 눈물이 나오게 만들었다.“ 고 했다. 스탠포드는, 모두 미국 전역의 흑인 여자 외과의사들인 친구 집단과 이 이야기를 함께 했다. 그들도 모두 관련돼 있을 수 있다고 스탠포드는 말하면서 그들의 전문성에도 불구하고 똑같은 대우를 겪어왔기 때문이라고 했다. 스탠포드는 “우리 모두에겐 할 말들이 많다.” 고 했다. “만일 우리들 중 누구라도 아프게 되면, 부디 침물하지 않길 바란다. 경계적이 되고 내새우며 공개적이 되라” 고 스탠포드는 친구들에게 적으면서 “무어는 우리들 중 하나다.” 라고 무어 이야기를 덧붙였다.
Comm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