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화] [Katie Bishop] 요즘 젊은이들, 옛날 젊은이들 보다 진짜로 약한가?
BBC 원문 2022.2.24. 요즘 젊은층 집단들은 흔히 게으르다거나, 어떤 식으로 찍혀있거나 아니면 자기 집착에 빠져있다고 정형화 돼 있는데, 수세기 동안 그래왔다. 이러한 인식에 (중요한) 뭔가가 있는 걸까? '눈송이'라는 낙인이 찍히는 것에서 부터 집보다도 (맛있다는 열대과일) 아보카도 구입을 우선시한다는 비난을 받는 것에 이르기까지, 어쨌거나 젊은 세대는 옛 세대보다 더 약하고, 힘든 일은 덜 하며, 덜 탄력적이라는 비방을 영구적으로 받고 있다. 이런 건 새로운 현상이 아닌 바: 결국, 사람들은 수십 년 동안 '요즘 애들' 에 대해 불평해 왔다. 그러나 2천 년대에 태어난 세대이자 Z세대가 아기를 폭발적으로 낳았었던 세데 또는 X세대 보다 더 약하다는 생각에 진짜로 진실이란 게 있긴 한 것일까? 증거는, 더 새로운 세대는 정말이지 예전 세대가 허약함의 기미라고 여길 수도 있을 (성격상의) 특성들에 대한 가치를 매우 높게 판단한다. 하지만 전문가들도 아기 폭발시대 (대략 1946년~1964년 사이에 출생) 와 X세대 (1965년~1980년 사이 출생) 가 자신들의 뒤를 이을 세대를 너무 가혹하게 재단하며, 오랫동안 오래도록 규준으로선 쓰이지 않아 온 것을 표준 삼아 판단하고 있다고 여긴다. 세대 간의 맥락은 수십 년 사이의 차이점들을 좁힘에 있어 핵심이 될 수도 있건 만 - 젊지만 성인인 사람들을 경시하는 것은 오랫동안 구축돼 왔으며 선천적 본능이어서 원 상태로 되돌리기는 불가능 한 것일 수도 있다. 신화 그리고 현실 사람들은 수천 년 동안 젊은 세대에 대해 불평해 왔니다. 사실 자기 다음 세대를 경시하는 것은 그냥 인간의 본성일 수도 있다. 호주 퀸즐랜드 공과대학 경영학 교수 피터 오코너는 “성인들이 청소년의 성격을 폄하하는 경향이 수세기 동안 있어왔다” 고 했다. 그는, 미국인 수천 명이 '요즘 아이들' 은 참가자들이 옛 세대들과 관련된 긍정적 자질이 결여돼 있다고 믿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있는 등. 그러한 고정관념 잘 살아 있는채로 남아 있다고 짚는다. 그러나 이것은 오늘날의 젊은이들이 실제 이러한 자질들이 꼭 결여돼있기 때문만은 아니며 - 연구자들은 이것은 우리가 현재의 자아를 과거의 자아에 표출시키기 때문이라고 주장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나이든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오늘날의 자신과 오늘날의 젊은이를 비교하고 있으며, 우리가 살고 있는 10년에 관계없이 오늘날의 젊은이가 어쨌거나 쇠락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2월 초, 영국의 부동산 전문가인 커스티 올솝은 집을 살 여유가 없는 것은 젊은이들의 잘못이라고 말하며 격노를 불러일으켰다. 90년대에 가족의 도움으로 자신의 첫 집을 구입한 올솝은 오늘날의 구매자 지망생들이 저축을 하는 대신 넷플릭스, 실내체육관 회원 등 '사치스런 것들' 에 너무 많은 돈을 지출한다고 시사했다. 올솝이 하는 말들은 오늘날 젊은이들은 옛 세대들이 했던 똑같은 희생을 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거나, 한때 자신들의 부모 또는 조부모들처럼 거칠지가 않다고 하는 일련의 유명인들이 최근에 하는 말들이었다. 2017년, 호주 부동산 거물 팀 거너 젊은이들이 집 대신 아보카도 토스트에 너무 많은 돈을 쓰는 것 같다고 했다 (호주 여러 지역에서 집값은 지난 10년 동안 두 배가 된 반면, 임금은 고작 30%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에는 1980년에서 1994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이 '이전 세대보다 덜 탄력적이고 공격작인 경향이 있다고 묘사하는 말인 ‘눈송이 세대’ 라는 구절이 콜린스 영영 사전에 추가됐다. 그리고 Z세대 사람들이 9시에서 5시까지의 (종일제) 근무를 거부하거나 사무실에 종일제로 근무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생각이 이미 등장하고 있는데 - 이는 찍힌 2010년대 세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제야 겨우 시아에서 사라지기 시작하고 있다.
구닥다리 기준
옛 세대는 여전히 자신이 오늘날의 젊은이들보다 더 강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걸 측정이라도 할 수 있는 것일까? 일부 전문가들은 그렇게 생각한다. 2004년과 2008년 사이에 대학을 졸업하는 천년 세대를 조사한, 한 2010년 연구에서는 1987년 이전에 졸업한 사람들보다 낮은 탄력성과 관련된 특성이 더 많았음을 보여주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신경증과 인정에 대한 요구가 젊은 세대에서 증가한 반면, 2012년 한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과거보다 더 자기중심적이라는 것을 암사했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이 볼 때, 이러한 측정치들은 젊은 세대가 나이든 세대보다 약하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수십 년 전의 기준으로 현대적이고 기술 중심적인 사회가 형성한 세대를 판단하는 방법일 뿐이다. ‘라잎스탠스 보건‘의 정신 건강 전문가이자 성인들 및 가족들과 세대간 분열에 대해 정기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칼 나싸르 박사는 “이전 세대는 표현 대신 억압을 배웠지만, 새로운 세대의 경우, 그 반대다.” 라고 말하면서 "그것은 인식 균열을 일으켰다. 옛 세대는 이 표현을 허약함의 징조라고 보는데. 취약성은 강점이 아니라 약점이라고 배웠기 때문이다." 라고 했다. 나싸르는 젊은 세대가 약하다는 비유는 대체로 입증되지 않은 것이며, 각 세대가 자신들의 문제를 표현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그 사이에서 잘못 연결시킨 것을 기초로 한 것이라며, 이런 것이 실제로 젊은 세대들이 실제 얼마나 탄력정인지에 대한 자료를 왜곡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 이 생각을 같게 반영한 사람이 제니퍼 라빈슨인데, 미국 여론조사 회사인 캘럽 고의 분석자이다. “X세대와 아기 폭발 세대에도, 역시, 문제는 있지만, 그들이 그렇다고 표현하는 것은 전문가답지 못한 것이라고 느껴진다.” 고 라빈슨은 말하면서 "그러므로, 젊은이들이 없어 보이거나 '눈송이' 같다고 보이는 것은 실제로는 속이 빤히 들여다뵈는 사회적 규준일 수도 있다." 고 했다. 자주 인용되는 생각인 천년세대와 Z세대가 자신의 집을 소유하는 계층이 되지 못하게끔 이기적으로 행동한다는 생각은 수십년 된 기준으로 어떤 세대를 판단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한 예다. 널리 경제적으로 번창하던 기간 중, 성인 초기 시절에 집을 소유한 아기 폭발 세대는 아마도 자신들이 처음으로 집을 구입하기 위해 지나치게 절약하며 저축했었다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이제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는 성과를 구가하면서, 이들은 자신들과 똑같이 할 수 없는 젊은이들이 자신들보다 더 허약하다고 여긴다. 이런 생각은 치솟는 집값, 부진한 임금인상 그리고 불안정한 직장의 증가 등의 문제를 무시하는 것이며, 이 모든 것들이 사람들로 하여금 대출을 못받게 한다. 비슷한 식으로, 구세대들은 Z세대들의 탄력성이 결여됐다는 징표로 가장 우울하고 불안해 하는 세대라는 사실을 지적할 수도 있지만, 이 세대는 전대미문의 외로움과 만연한 경제적 불안정성 속에 전 세계적 유행병 (코로나바이러스) 기간 동안 성인이 돼가는 세대이다. 다른 세대들 및 각 세대들이 직면하고 있는 난제들은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텍서스 오스틴에 본사를 둔 여러 세대 연구 회사인 세대적 반응 비율 본부장인 제이슨 도시는 “현실은 Z세대는 인생의 똑같은 단계에서 다른 세대들이 봉착하지 않았던 다양한 난제들에 직면하는 나이가 되고 있는 중이며, 특히, 코로나-19 기간 및 자신들의 스마트 전화기 상으로 항상 사회연결망 (SNS) 의 직접적인 압박을 가장 많이 받는다.” 고 하면서 “코로나 기간 동안 사회적 거리 두기 및 격리의 어려움에 대한 정신 건강에, 거리를 익히는 문제 및 어린 성인의 모든 형성 요소 등이 더해지기에, 왜 이 세대가 난제 투성이의 시기라고 느끼는 것인이 쉽게 알 수 있다.” 고 했다. 자신들 세대에서 비롯된 산물 각 세대의 제반 행동과 신념들은 자신들 만의 독특한 문제들과 어려움으로 형성된다. 아기 폭발 세대와 X세대는 스마트 전화기의 편리함도 모르고 자랐을 수 있지만, 이들은 동시에 커져가는 인터넷의 복잡함 -인식과 자기 중심적 특성에 대한 필요를 촉발시켰을 가능성이 크다고 일부 연구에서 밝혔듯- 과 전투를 할 필요도 없었다. 이와 유사하게, 구세대들은 젊은 세대들처럼 교육에 똑같이 접근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구세대들은 대학 졸업장이 없어도 중간층 정도의 일자리는 구할 가능성이 더욱 컸기에, 학생 빚이라는 심하게 손상을 주는 멍에도 지지 않는다. 그리고, 제반 사정의 이면에, Z세대 사람들은 자신들의 부모 및 조부모 세대가 기후 변화 및 금융적 불평등성 따위의 사회적 문제들과 힘겨울 정도로 싸우지 않았다고 여길 수도 있다 (구세대를 폄하할 의도로 말한 구절인 ‘아기 폭발 세대는 괜찮아’ 라는 말이 입소문이 나도록 촉발시켰던 논쟁) 그러나 또한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성차별주의와 인종불평등의 뚜렷한 형태와 따위의 다른 사회적 문제와 싸워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릴 수도 있다. 결국 일부 나이 든 아기 폭발 세대가 초기 성인이 되었을 때, 여자는 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주택 구입을 위해 신용 신청서에 공동 서명할 남자를 구해야 했으며, 일부 미국 주에서는 인종 간 결혼이 여전히 금지되어 있었는데 - 사람들이 뒤집으려고 열심히 싸운 법들이었다. 진실은 구세대들은 수세기 동안 지신들의 이전 세대 사람들이 게으르고 부여받은 권리가 있고 자기 집착적이라고 비난해 왔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우리와 다른 시대에 자란 사람들을 판단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는 것 같고, 지나치게 깨어 있는 Z세대나 부를 축적하는 아기 폭발 세대를 조롱하는 당 시대적 문화 따위는 분열을 깊게할 뿐이다. 도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믿지만, 세대 간 맥락은 꾸준히 이어져오는 허약하다는 신화를 바로 잡는 것이 핵심이다. “이 다양한 세대가 겪었던 일, 그들이 지금의 모습인 이유에 대해 알아차리는 것이다.” 라고 그는 말하면서 “구세대 사람들이 젊은 세대에 따넘기기를 중단하도록 할 최상의 방법은 지금 당장 존재하지 않는 대화를 새로 만드는 것이다. 여러 세대 전반에서 솔직한 대화를 나누지 않고, 젊은 사람은 눈송이, 나이 든 사람은 공룡이라고 부르는 입소문 문화가 있다. 그러나 진실은 우리 모두가 인간이라는 점이다.”
Comm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