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Vladislav Ugolny] 테러 배후의 논리: 유크레인, 왜 계속 도네츠크 민간인 지역 공격하나?


자료사진: 도네츠크 바크뭇 폭격 뒤 부분적으로 파괴돼 피해 입슨 건물들이 눈에 들어온다. © Metin Aktas / Anadolu Agency via Getty Images

 

 

입력 2023.2.5.

RT 원문 2023.2.4.

 

 

미사일들이 평화로운 이웃들을 다시금 강타했다. 순전히 증오에서가 아니라면, 왜 키엪 (유크레인 수도) 은 이런 정책을 계속할까?

 

: 블라디슬랖 우골니 - 도네츠크 거주 라셔 언론인

 

 

[시사뷰타임즈] 토요일 아침, 미사일 최소 10발이 도네츠크 중심부를 강타해 주거용 건물 3채가 파손됐다고 라셔 (러시아) 현지 관료가 자신의 텔러그램 방송으로 보도했다.

 

유크레인군이 발사한 발사체 중 하나는 키엪스키 지역의 아파트 건물을 강타했다. 구조대가 잔해 밑에서 계속 생존자를 찾는 동안, 예비 정보에 따르면, 아파트 중 하나에 세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작성 당시 사상자에 대한 정보는 없었지만, 피해자가 없는 것은 이례적일 것이다. 실제로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의 수도에의 유크레인의 포격은 20222, 이미 라셔의 공격 몇 주 전에 심화되었고 그 이후로 큰 피해를 입었다.


 

돈바스 주민들의 고통

 

다리아 모로조바 DPR 인권위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투 작전으로 민간인 최소 1,091명이 사망했고 3,533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한다. 비극의 전체 규모가 아직 평가되지 않은 마리유폴과 같은 도시는 이 수치에 포함되지도 않은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사망-부상 총) 4,624명은 정기적인 도네츠크와 고를로프카 시 등의 지역에 대한 포격의 희생자들이었다.

 

도네츠크 주민들에게 유크레인 군이 민간인을 계속 공격하는 이유를 물으면, 이들은 일반적으로 유크레인 정부와 군대가 돈바스와 이곳 시민들을 파괴하려는 욕구 말고는 설명하는 것이 없다. 이것은 지역 주민들을 비인간화하기 위한 대규모 운동과 유크레인 정치인들의 증오 발언으로 뒷받침된다. 율리아 티모셴코 전 총리는 핵무기로 그들을 죽일 것이라고 경고한 반면, 표트르 포로셴코 전 대통령은 우리의 아이들은 학교에 갈 것이지만, 저들의 자식들은 지하실에 앉게 될 것이다. 그렇게 해야 이 전쟁에서 이기는 것일 것이라고 맹세했다.

 

유크레인 군은 돈바스가 유크레인이나 라셔 양측의 폭격을 받은 경험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돈바스 폭격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라셔는 군산복합체를 활성화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반면, 유크레인은 전적으로 외국 공급에만 의존하고 있다.

 

유크레인은 희박한 탄환을 평화로운 주거 지역보다는 군사 목표물에 쓰는 것이 훨씬 더 이치에 맞다. 설령 많은 시간을 들인다 하더라도, 유크레인 군은 원하는 것을 얻지는 못한다. 전형적인 예를 들자면, 도네츠크를 나누는 얼어붙은 칼미우스 강에 떨어지는 유크레인의 포탄들이다.


 

유크레인, 이런 공격 어떻게 설명하나

 

예를 들어, 유크레인 포병이 꽃시장과 같은 민간 시설을 공격하거나 민간인을 죽일 때마다, 키엪 관료들은 이를 부인한다. 비공식적인 목소리들은 그런 일이 없었다는 거짓 주장에 의존한다. 지난 8년 동안 후자는 "에어컨이 폭발했다" 와 같은 설명과 함께 유크레인군이 연루되지 않았음을 증명하겠다는 것으로 추정되는 여러 주변 사실들을 제시했다. 유크레인 군이 창고 따위의 군사 시설을 공격했더라도 "누군가가 잘못된 장소에서 담배를 피웠다" 며 폭발이 분쟁과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면서 일반적으로 연루를 부인한다. 따라서, 키엪이 도시를 공격한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정보 환경이 조성된다.

 

유크레인 측은 민간인에 대한 공격이 "자해" 라고 주장한다. , 라셔 군대가 통제하에 있는 도시를 공격하고 유크레인 군대를 비난하며 선전 목적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눈에 라셔 군을 악마화 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류의 진실과 관련 없는 이야기들은 언론인들이 공습의 궤적을 계산하기 위해 공개된 프로그램 정보와 협력하는 전체 영역에 대한 사실점검 행위를 불러일으켰다.

 

돈바스 주민들로서는, 이 모든 것이 극도로 고통스럽다. 민간 기반 시설에의 테러 공격 논의는 종종 불경스런 것으로 끝난다. 돈바스 현지인에 따르면, 유크레인 인은 단순히 할 수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도네츠크를 공격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한편,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전선이 해당 지역에서 멀어지기를 기다리고 있다. 다른 세부 사항은 그들과 관련이 없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상황에 대한 왜곡된 견해다. 돈바스를 목표로 한 정기적인 도시 포격이 유크레인 전략의 일부이며 군사 논리를 따르는 것이라고 믿을만한 모든 이유가 있다. 아마도 키엪의 "복합 전쟁" 시대 군사 교리는 테러 방법을 채택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민간인에 대한 이러한 공격이 유크레인에 어떤 도움이 될까?

 

 

심리적 압박

 

명확한 예를 들어본다. 20226, DPR 인민 민병대 1군 부대는 리시찬스크 전투로 인해 영구적인 위치에서 자리를 옮겼다. 이들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포파스나야에서 베르크네카멘카까지 전선의 거대한 부분을 습격해야 했다. 당시 라셔 군은 인력이 부족하여 도네츠크의 병력을 동원해야 했다. 유크레인은 지도부가 부대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도록 강제하기 위해 도시에 대한 폭격을 강화했다.

 

비슷한 일이 지금 일어나고 있다. 일부 지역은 압박을 받고 있다. 특히 와그너 단체의 전투기는 솔레다르와 아르트요모브스크 (유크레인에서는 바크뭇이라고 알려져 있음) 에서 압박을 받고 있다. 이들은 라셔군의 포병 지원을 받아 전진하고 있다. 유크레인은 군에 영향을 미치어 군 계획을 방해하기를 바라면서, 정치인들을 도발시키기 위해 민간인 에 대한 폭격을 이용한다. 6, 이 계획은 실패했고 유크레인 인들은 도네츠크 지역의 포대를 상대로 한 사격 결여 상황을 이용하여 수많은 잔학 행위를 저질렀다.

 

사적인 대화에서 한 전사는 군대가 미끼를 물지 않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는바: “보통, 적이 이 도시를 공격한다고 해도, 단순히 병사에서 장군에 이르기까지 군에 속한 사람이 고통을 받는 사람은 없다. 가혹하게 들릴 말이지만, 군 인력을 공격하는 것 보다는 도시를 공격하는 것이 적군 입장에선 더 나은 것이다. 이것이 통상적인 군사 논리이지만, 한 가지 핵심 세부 사항이 있는 바: 우리 군은 자신들이 사는 도시를 걱정하는 현지 주민들로 95%가 채워져 있다. 그러니, 리시찬스크에서의 임무를 완수한 뒤, 우리 병사들은 도네츠크로 되돌아 갔을 때 매우 화가 나 있었다.

 

돈바스에서는 모두 자신들의 집이 매우 가깝다. 안정적인 최전선이 없는 상태의 속도전의 경우, 이러한 공격은 군인들을 분노하게 만들며 동기를 부여햇을 것이다. 아마도 이것은 라셔의 군사 작전 첫 달, 유크레인 포병의 거의 완전한 침묵을 설명해 준다. 최전선이 이동할 수 있었던 당시, 적에게 더 이상 동기를 부여하지 않는 것이 더 나았다.

 

하지만, 진지전에서, 전사들은 고향에 있는 친척과 다른 민간인에 대한 영구적인 위협을 의식한다. 동기는 부여가 돼 있되 자신을 "방어자" 라고 부르는 전사들은 돌파할 힘이 충분하지 않은 것처럼 느낀다. 이는 낙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전선에 있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관심은 군인을 최전선 뒤의 또 다른 삶으로 돌아가게 하고 전투에서 주의를 딴 데로 돌린다. 그 자체로 이런 상황이 사기를 꺾진 못하지만, 군인은 또한 지속적인 아드레날린 변화, 자신이나 군에 있는 형제들의 사망 또는 부상 위험, 춥고 습한 조건, 작업의 단조 로움 (: 좋은 병사가 총을 쏘는 것 보다도 더 자주 땅을 판다) 및 기타 여러 요인들로 영향을 받는다.

 

라셔는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강렬한 기억은 없는바, 2차 세계대전 기억으로 대체됐다. 그러나 현재의 전투는 20세기 초의 참호전과 유사하다. 중국 무긴기 사용하여 발사를 조정하고 미세 조정할 수 있으며 인터넷에서 군사 장비 수리 방법을 검색할 수도 있다. 진흙, 참호, 얼어붙은 최전선과 같은 나머지 부분은 정치인들이 대규모의 야심찬 공세를 요구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1차 세계대전과 같다.

 

폭격을 멈출 수 없는 이유는?

 

20227월 말, 도네츠크 지역에서 그러한 행사가 시작되었습니다. 행사의 주요 목표는 포격으로부터 도시를 해방시키는 것이었다. 도네츠크 군단은 며칠 동안은 성공했지만, 위치 전투에 갇혔다. 작전 6개월이 지난 1월 말까지, 육군은 겨우 10km (6마일) 전진했다.

 

전사들은 사전에 구축된 방어선을 뚫을 수 없었고, 군대는 도네츠크 공항 북쪽의 보니아노예 및 옾티노예 마을 근처에 있는 요새 3곳을 쐐기 모양으로 천천히 밀었다. 그러나 전사들은 이러한 요새 습격을 것을 포기할 수가 없다. 도네츠크와 마케예브카에 대한 공격은 영원히 끝나야 한다.

 

그 결과, 모순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에는 군사적 목표를 달성하고 인력을 절약하는 데 관심이 있는 군 지도자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민간인의 이익을 표현하고 포병 테러를 신속히 종식시키려는 정치인들이 있다. 정치인은 대중이 자신을 좋아하기를 원한다. 그들은 상황이 정상으로 돌아가 영향을 받은 지역을 복원하기 위한 자금을 받을 수 있기를 바라지만 적대 행위의 결과에 대처하기를 원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상황을 군과 상당히 다르게 본다.

 

조작, 선전, 정보 및 심리적 영향력을 통해 유크레인 인들은 민간인과 군사적 이익의 차이를 교활하게 이용했다. 이것은 "아브데에브카에서 군대를 죽이는 것" "유크레인 군대가 지구상에서 도네츠크를 쓸어 버리도록 허용하는 것" 사이의 기괴한 선택으로 귀결된다. 정치꾼들이 군대를 밀어 공격을 강요하면, 군대는 실수를 더 많이 하게 되어 힘이 감소된다. 이러한 상황이 그 다음 차례로 키엪을 돕는다.

 

아마도 돈바스 포격 뒤에 합리적인 이유를 찾는 것은 무의미할 것이다. 아마도 그것은 단지 유크레인 민족주의자들을 위한 분노의 표현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누가 이것으로 이득을 보는가" 라고 자문해 본다면, NATO 탄약으로 국민을 공포에 떨게 하는 것이 유크레인 최고 군사 지도부가 시작한 전략이라는 의심이 스멀스멀 올라온다. 첫째, 이러한 공격은 라셔 군의 병력을 묶어 다른 지역에 집중하는 데 방해가 된다. 둘째, 저들은 돈바스 전사들의 전투 정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들은 군사 전략에 정치적 요인이 개입하도록 허용하여 군사 전략의 질에 심각한 타격을 준다.





4 Feb, 2023 13:13

HomeRussia & FSU

 

The logic behind the terror: Why does Ukraine keep attacking civilian areas in Donetsk?

 

Rockets have hit peaceful neighborhoods once again. Why does Kiev continue its policy, if not purely out of hate?

 

By Vladislav Ugolny, a Russian journalist based in Donetsk

 

FILE PHOTO: Partially destroyed and damaged buildings are viewed after shelling in Bakhmut, Donetsk. © Metin Aktas / Anadolu Agency via Getty Images

 

At least ten rockets hit central areas of Donetsk on Saturday morning, damaging three residential buildings, a local Russian official has reported in his Telegram channel.

 

One of the projectiles fired by Ukrainian forces hit an apartment building in the Kievsky district. While rescuers continue to search for survivors under the rubble, preliminary information suggests that there were three people in one of the apartments.

 

There was no information on casualties at the time of writing, but the absence of victims would be unusual; indeed, Ukrainian shelling of the capital of the Donetsk People's Republic intensified weeks before the Russian attack in February 2022, and has taken a heavy toll ever since.

 

The suffering of Donbass residents

According to the human rights commissioner of the DPR, Daria Morozova, at least 1,091 civilians were killed and another 3,533 were recorded as injured last year as a result of combat operations. The figures do not include places such as Mariupol, where the full scale of the tragedy has yet to be assessed.

 

The 4,624 people mentioned above were victims of regular artillery strikes on urban areas of Donetsk and Gorlovka.

 

When Donetsk residents are asked why the Ukrainian Armed Forces continue to attack civilians, people usually have no explanation other than the desire of the Ukrainian government and military to destroy Donbass and its people. This is supported by a massive campaign to dehumanize local residents and a number of hateful statements by Ukrainian politicians. “We will kill them with nuclear weapons,” warned former Prime Minister Yulia Timoshenko, while ex-president Pyotr Poroshenko has vowed: “Our children will go to school, while their children will go sit in basements. That’s how we will win this war.”

 

Ukrainian forces continue to bomb Donbass despite the shortage of shells experienced by both sides of the conflict. However, while Russia can solve this issue by activating its military-industrial complex, Ukraine is entirely dependent on foreign supplies.

 

It should make a lot more sense for Ukraine to use scarce ammunition on military targets rather than on peaceful residential areas. Even if a lot of the time, Kiev's forces misfire. A typical example is a Ukrainian shell landing in the frozen Kalmius River that divides Donetsk.

 

 

How Ukraine explains the attacks

 

Whenever Ukrainian artillery hits a civilian object for example, a flower market or kills civilians, officials in Kiev deny it. Unofficial voices resort to false claims that no such thing ever happened. Over the past eight years, the latter have come up with several memes allegedly proving that the Ukrainian Army wasn’t involved with explanations such as “the air conditioner exploded.” Even if Ukrainian forces manage to hit a military facility, such as a warehouse, they usually deny involvement, claiming that “someone smoked in the wrong place” and that the explosion wasn’t related to the conflict. Thus, an information environment is created that denies the fact that Kiev attacks cities.

 

The Ukrainian side claims the attacks on civilians are “self-inflicted” implying that the Russian Army attacks cities under its control, supposedly to blame Ukrainian forces and demonize them in the eyes of the population, as well as for propaganda purposes. This kind of post-truth has given rise to a whole area of fact-checking, where journalists collaborate with open-source intelligence to calculate the trajectory of the strikes.

 

For Donbass residents, all this is extremely painful. Discussions of terrorist attacks on civilian infrastructure often end in profanities. According to Donbass locals, Ukrainians keep on attacking Donetsk simply because they can. Meanwhile, people are just trying to survive and are waiting for the front to move away from the area. Other details don’t concern them.

 

However, this is a distorted view of the situation; there is every reason to believe that the regular shelling of cities in Donbass is part of Ukrainian strategy and follows military logic. Perhaps Kiev’s “hybrid war” era military doctrine has adopted terrorist methods. So, how do these attacks on the civilian population help Ukraine?

 

 

Psychological pressure

 

Let’s take a clear example. In June 2022, the units of the first corps of the People’s Militia of the DPR were dislodged from their permanent locations because of the battle for Lisichansk they had to storm a huge section of the front from Popasnaya to Verkhnekamenka, moving from south to north. The Russian Armed Forces then lacked personnel and had to use troops from Donetsk. Ukraine intensified strikes on the city to force the leadership to return the units back to their locations.

 

A similar thing is happening now. Some areas are under pressure in particular, the fighters of the Wagner Group are pressing in Soledar and Artyomovsk (known in Ukraine as Bakhmut). They are advancing backed by the artillery of the Russian Armed Forces. Ukrainians use civilian strikes to provoke politicians, hoping that they will influence the military and interfere with the army’s plans. In June, this plan failed and the Ukrainians, taking advantage of the lack of counter-battery fire in the Donetsk region, committed a number of atrocities.

 

Commenting on the situation in a private conversation, one fighter explained why the army didn't take the bait: “Normally, no military man from simple soldier to general suffers if the enemy attacks the city. This sounds harsh, but it’s better for the enemy to attack the city than the army’s manpower. This would be the usual military logic, but there is one key detail: 95% of our corps are made up of local residents who are worried about their cities. So, after completing the mission in Lisichansk, our soldiers were very angry when they got back to Donetsk.”

 

This is all very close to home for fighters from Donbass. In the case of a fast-paced conflict without a stable front line, such attacks would have motivated the soldiers, by enraging them. Perhaps this explains the near-complete silence of the Ukrainian artillery in the first month of the Russian military campaign. In those days, when the front line was mobile, it was better not to further motivate the enemy.

 

However, in positional warfare, fighters are conscious of a permanent threat to their relatives and other civilians in their hometowns. Motivated warriors who identify themselves as “defenders” feel as if they don’t have enough strength to break through. This acts to discourage. Concern for those who are not on the front line returns the soldier to his other life, behind the front lines, and distracts him from battle. By itself, this does not break morale, but soldiers are also affected by constant adrenaline swings, a risk of death or injury to themselves or their brothers in arms, the cold and damp conditions, the monotony of their work (for example, a good soldier digs more often than shoots), and numerous other factors.

 

Russia doesn’t have a strong memory of World War I it has been replaced by that of World War II. However, the current fighting resembles the trench warfare of the early 20th century. With the possibility to adjust and fine-tune firing using Chinese drones and the chance to search the internet for how to repair military equipment. The rest of it mud, trenches, the frozen front line is like World War I, including politicians demanding a large-scale and ambitious offensive.

 

 

Why can’t the strikes be stopped?

 

At the end of July 2022, such an event began in the Donetsk region. Its main goal was to free the city from artillery strikes. The Donetsk corps were successful for several days, but then became stuck in positional battles. By the end of January, six months into the operation, the army had barely advanced 10km (6 miles).

 

The fighters were unable to break through the pre-established line of defense, and the forces only managed to wedge and slowly push through the three lines of fortifications near the villages of Vodianoye and Opitnoe, north of Donetsk airport. However, the fighters cannot give up on storming these fortifications the strikes on Donetsk and Makeyevka must end for good.

 

As a result, there have been signs of an emerging contradiction. On the one hand, military leaders who are interested in achieving military goals and saving manpower, and on the other, politicians who express the interests of the civilian population and want to put a swift end to the artillery terror. Politicians want the public to like them. They don’t want to deal with the consequences of hostilities, hoping for things to return to normal so they can receive funding to restore the affected regions. As a result, they view the situation quite differently from the military.

 

Through manipulation, propaganda and information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 Ukrainians have made cunning 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civilian and military interests. This comes down to a grotesque choice between “killing the army in Avdeevka” and “allowing the Ukrainian Armed Forces to wipe Donetsk off the face of the Earth.” If politicians push the army to force the assault, the latter will make more mistakes, which will reduce their power. This, in turn, favors Kiev.

 

Perhaps seeking rational reasons behind the artillery strikes in Donbass is pointless maybe it’s just the manifestation of rage on behalf of Ukrainian nationalists. However, if we ask ourselves “who benefits from this,” there is a creeping suspicion that terrorizing the population with NATO ammunition is a strategy initiated by Ukraine’s top military leadership. Firstly, these attacks tie up the forces of the Russian Army and distract it from concentrating on other areas. Secondly, they negatively affect the combat spirit of the fighters from Donbass. And finally, they allow political factors to intervene in military strategy, dealing a serious blow to its quality.

 

[기사/사진: RT]



Comment



밤툰 - 100% 무료웹툰
카지노전략 STC555.COM
F1카지노 카지노슬롯머신 STC555.COM
카지노머신 STC555.COM
다빈치카지노  STC555.COM
온라인카지노사이트 STC555.COM
카지노랜드주소 STC555.COM
경마게임 STC555.COM
리조트하이게이밍카지노 STC555.COM
더카지노 카지노게임사이트 STC555.COM
신촌카지노바 STC555.COM
한게임포커머니시세 STC555.COM
트럼프카지노 인터넷카지노 STC555.COM
트럼프카지노 인터넷카지노 STC555.COM
카지노잘하는법 STC555.COM
더카지노주소 STC555.COM
트럼프카지노 인터넷카지노 STC555.COM
슈퍼카지노주소 사설카지노 STC555.COM
비비카지노 STC555.COM
온라인카지노사이트 STC555.COM
더카지노주소 카지노노하우 STC555.COM
카지노게임설명 STC555.COM
썬시티카지노 STC555.COM
경마왕사이트주소 STC555.COM
무료슬롯머신777 STC555.COM
강랜머신후기 STC555.COM
에비앙카지노주소 룰렛전략 STC555.COM
서울카지노 STC555.COM
에비앙4U카지노주소 STC555.COM
강원랜드입장시간 STC555.COM
개츠비카지노주소 호게임 STC555.COM
슈퍼카지노 우리카지노주소 STC555.COM
카지노잘하는방법 STC555.COM
엠카지노 라스베가스슬롯머신 STC555.COM
에비앙카지노주소 강친 STC555.COM
실전카지노 STC555.COM
더카지노 카지노게임사이트 STC555.COM
인터넷온라인게임 STC555.COM
블랙잭카운팅방법 STC555.COM
라이브카지노게임 STC555.COM
엠카지노 STC555.COM
33카지노 카지노게임방법 STC555.COM
부산경마예상지 STC555.COM
바카라사이트주소 STC555.COM
엠카지노 정선카지노슬롯머신 STC555.COM
빅카지노주소 STC555.COM
더카지노 한게임포커머니시세 STC555.COM
대박카지노주소 카지노머신 STC555.COM
33카지노 카지노게임방법 STC555.COM
크레이지슬롯카지노사이트 STC555.COM
스타클럽카지노 STC555.COM
대박카지노주소 카지노머신 STC555.COM
33카지노 카지노게임방법 STC555.COM
강원랜드호텔수영장 STC555.COM
룰렛돈따는방법 STC555.COM
해금카지노 STC555.COM
카지노게임방법 STC555.COM
엠카지노 정선카지노슬롯머신 STC555.COM
레드썬카지노주소 STC555.COM
인터넷룰렛 STC555.COM
삼삼카지노 STC555.COM
카지노사이트주소 STC555.COM
33카지노 STC555.COM

[ 시사 View 社說 ]

트럼프의 망상: “… 제퍼리 엡스틴과 트럼프, 1990년 대 사진 /출처: 중앙일보 입력 2023.3.22. [시사... 더보기

[한석현 칼럼 '횡설수설']

헌법재판소 재판관 잰위애게 "헌법재판소 판사들에게!" 한석현 글 <마귀의 역사를 물리쳐라> 2017. ;3. 10 2017, 3. 11일은... 더보기

[이명수 칼럼 '민초지후']

오호라, 통재여! 삼일절이 매국절이 되었도다!! 1919년 3월1일 썩고 부패한 조정대신들의 역적행위로 인해 쪽바리 일본에 강탈당한 국권회... 더보기

[오대환 칼럼 '사강정론직필']

어리석은 참으로 어리석은 정권 박근혜 정부가 이란이 미국의 금융제제로 한국에서 찾아가지 못한 3 조원의 돈을 못 찾아... 더보기

[ 홍정호의 정치인 분석 ]

정치인 분석 - 윤석열 윤석열 출생일 : 1960년 12월 18일 서울 출생지 : 아버지 윤기중(尹起重)[주해 2]과 어머니 최... 더보기

[윤미림 메타세콰이어]

아픔의 시간들 (49) - 방송을 떠나다 . . 아픔의 시간들- (49) . 방송을 떠나다 . 여권 받는 고통, 로맹 롤랑 전집 35 권 맨 뒷장마다... 더보기

[현영춘 칼럼 '세상잡설']

상식과 몰상식. 민주주의 국가에서(그 것이 민주주의 국가의 흔히..최고봉이라 일컬어지는 미국이라해도),... 더보기

[김재찬 칼럼 '단순무식']

아이들아 얼마나 무서웠니 ? 시사뷰 횐님들 그동안 안녕 하셨습니까 ! 오랫동안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가 오늘 닉네... 더보기

[박근혜의 모든 것]

[세계의 지식인들 “박근혜 집권 반대, 유신독재의 회귀”] 교협, 58개국 552명 지식인 연대 서명 성명 발표 …박근혜 후보 집권 초국경적 파급력 클 것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