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치] 세계 핵 잠수함 보유 현황
[시사뷰타임즈] 올해 9월15일 미국은 영국과 호주를 등장시켜 중국의 도발을 저지하고 봉쇄한다는 명분으로 3국 안보 협정을 체결했고 그것의 명칭이 AUKUS이다. 몇 백만 달러 어치 상당의 공격용 잠수함 12척을 프랑스에 이미 주문해 놓은 호주였는데, 미국이 주도하여 이 협정을 맺으면서, 미국이 제조하는 ‘핵 동력’ 잠수함으로 대체시키겠다면서 프랑스에 계약 취소를 통보한 호주도 문제였지만, 잠수함 완성/인도를 눈앞에 두고 있던 프랑스로서는 엄청나게 분노를 할 잃이었였다. 그런데 이 협정으로 등장한 개념이 ‘핵 동력 잠수함’ 과 ‘핵 잠수함’ 의 차이이다. ‘핵 동력 잠수함’ 이란 핵을 동력으로 하지만, 그 외에는 핵과 관련이 없고 동력 외엔 모두가 재래식 무기를 장착한다는 것인데, 그래도 핵을 동력으로 하는 것이기에 잠수 시간은 엄청나게 길어지게 되며 적에게 그마만큼 노출이 덜된다는 장점이 있다. ‘핵 잠수함’ 은 핵을 동력으로 하여 잠수함을 가동시키는 것은 기본이고, 그 외에 핵무기를 발사할 능력도 있는 잠수함을 말한다. 윗 표에도 나오지만, 현재 핵 잠수함 보유국은 미국이 단연 1등으로 14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핵 동력 잠수함’ 은 64척을 보유하고 있다. (핵관련 잠함 총68척) 라셔는 핵 잠수함은 10척, 핵 동력 잠수함은 19척이다 (총29척) 중국은 핵 잠수함이 6척이고 핵 동력 잠수함도 6척이다 (총12척) 영국은 핵 잠수함이 4척인 반면, 핵 동력 잠수함은 7척으로 총 11척이다. 프랑스는 핵 잠수함이 4척, 핵 동력 잠수함도 4척으로 총 8척이다. 인도는 핵 잠수함 1척만 보유하고 있다 (총1척) 프랑스와의 계약을 가로챈 뒤 호주에 공급하게 될 잠수함은 핵 잠수함이 아니라 핵 동력 잠수함이다. Comment로그인후 댓글작성 가능합니다. |
|